forEach문은 아래와 같이 활용한다.
|
1
2
3
4
5
6
7 |
<c:foreach items="${리스트가 받아올 배열이름}" var="for문 내부에서 사용할 변수" varstatus="상태용 변수"> // 반복해서 표시할 내용 혹은 반복할 구문</c:foreach> |
이 때, 상태용 변수를 status라고 지정했다면 아래와 같이 활용할 수 있다.
${status.current} 현재 for문의 해당하는 번호
${status.index} 0부터의 순서
${status.count} 1부터의 순서
${status.first} 첫 번째인지 여부
${status.last} 마지막인지 여부
${status.begin} for문의 시작 번호
${status.end} for문의 끝 번호
${status.step} for문의 증가값
활용 예
|
1
2
3 |
<c:foreach items="${list}" var="list" varstatus="status"> <c:out value="${status.index}" /> / <c:out value="${status.end}" /></c:foreach> |
출처: http://jetalog.net/20 [jetalog.net]
'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SPRING]AJAX에서 객체 필드 보내기 (0) | 2018.04.28 |
|---|---|
| [Spring]REST 아키텍처 구축시 알아야 할 것들 (0) | 2018.04.14 |
| 맵핑 객체 안에 리스트, 배열 바인딩 (0) | 2018.02.02 |
| Form에서 전화번호 / 이메일 형식 만들기 (0) | 2018.02.02 |
| ResponseEntity<T> and @ResponseBody 차이 (0) | 2018.02.02 |